슬기로운 의사생활,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 생활을 보면 "레지던트", "펠로우", "전문의", "치프" 같은 단어가 나오는데 도대체 뭐가 다른 건지 궁금하셨던 적 있으신가요?
일반인에게는 매우 생소한 이 단어들!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의사의 교육과정과 역할에 따라 나뉘는 직급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드라마나 대학병원에서 자주 보고 듣게 되는 용어들을 중심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문의란?
전문의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완전히 훈련을 마친 의사를 말합니다.
- 의대 6년 → 인턴 1년 → 레지던트 3~4년 → 전문의 시험 합격
- 해당 진료과에 대해 공식 자격을 가진 의사로, 진료·수술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합니다.
- 예를 들면, 내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피부과 전문의 등이 있습니다.
공부, 실습, 수련을 다 마친 완성된 전문가 의사입니다.
레지던트란?
레지던트(Resident)는 전문의가 되기 위해 수련 중인 전공의입니다.
- 인턴을 마친 후 선택한 진료과에서 3~4년간 수련합니다.
- 의사 면허는 있지만 아직 전문의 자격은 없습니다.
- 병원에서 환자를 직접 진료하고 수술 보조도 하며, 매운 바쁜 생활을 합니다.
전문의가 되기 위해 실전 훈련 중인 의사입니다.
펠로우란?
펠로우(Fellow)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특정 세부 분야를 더 깊게 공부하는 의사입니다.
- 예를 들어, 내과 전문의 → 심장내과 펠로우
- 보통 1~3년간 세부 전공 분야에 집중합니다.
- 대학병원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교수로 가는 길목이기도 합니다.
한 분야의 고수가 되기 위해 전문의 이후 더 공부 중인 전문+연구형 의사입니다.
치프란?
치프(Chief)는 보통 레지던트 마지막 해(4년차)의 리더를 말합니다.
- 같은 과 레지던트들 중 가장 경력 많은 선배이며
- 후배 레지던트들을 지도하고, 진료·당직 스케줄 등을 조율하는
- 의학 실력뿐 아니라 리더십도 중요한 역할입니다.
전공의 팀의 반장 혹은 선배 리더 의사인거죠.
레지던트 vs 치프 vs 전문의 vs 펠로우
구분 | 자격 | 설명 | 예시 |
레지던트 | 의사 면허 있음 | 전문의 되기 전 수련 중 | 내과 레지던트 2년차 |
치프 | 의사 면허 있음 | 레지던트 중 리더 (보통 4년차) | 정형외과 치프 레지던트 |
전문의 | 의사 면허 있음 + 자격증 | 수련 완료된 정식 의사 | 소아과 전문의 |
펠로우 | 전문의 자격 있음 | 세부 전공 수련 중 | 뇌혈관외과 펠로우 |
왜 알아두면 좋을까요?
병원에서 만나는 의사가 전문의인지, 레지던트인지에 따라 치료 책임이나 숙련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의사는 환자를 진심으로 치료하겠지만,
수련 중인 의사는 지도 전문의의 감독 하에 진료하게 되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마치며
의사도 초보 시절이 있고, 수련 과정을 거치며 점점 전문의가 되는 것입니다.
레지던트, 펠로우, 치프, 전문의의 차이를 알면 병원 진료를 받을 때 조금 더 안심되고 이해도도 높아지게 되겠죠?
이 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추천글 ▼
판사 검사 변호사 차이가 뭐야? 헷갈리는 법조인 한 번에 정리해드릴께요
법정 드라마 보다 보면 '판사님', '검사님', '변호사님'이 다 등장하는데요. 도대체 누가 무슨 일을 하는 건지 헷갈리지 않으셨나요?또 로스쿨을 나오면 바로 판사가 되는 거야?, 검사는 경찰이랑
pepehk.tistory.com
'일상생활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 60대 엄마 생일선물 TOP 5 실용적이고 감동적인 선물 추천 (3) | 2025.04.29 |
---|---|
자동차 검사 대행 서비스 비용 장점, 맡겨도 될까? (0) | 2025.04.28 |
운전자 보험 모르면 10만원 손해보는 보험료 줄이는 꿀팁 (0) | 2025.04.03 |
공매도 잔고 확인하는 방법과 해석 (2) | 2025.04.02 |
공매도 개인 투자자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 (1) | 2025.04.02 |